알아두면 나쁠거없는

차트용어 주식 비트코인 차트보는법

쳇바퀴 2023. 6. 20. 19:53

금융 상식 습득은 경제활동에 뛰어들기전 알아야할 준비운동이라고 볼수있다. 그중 주식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반드시 알아야할 용어와 요소들에는 어떤것들이 있으며 어떤뜻을 지니고있는지 알아보자

 

차트 용어

가장 기본적인 용어에는 캔들,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이 있으며 기초적이며 가장 중요한 용어라고 할수있다.

 

캔들(candle): 양초 모양과 비슷해 지어진 이름으로 캔들차트를 이루는 요소중 하나이다.

 

시가 (Open): 주식의 거래가 시작될 때의 가격을 의미. 차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캔들의 왼쪽 아래에 위치함.

 

고가 (High): 주식이 거래된 기간 동안 기록한 최고 가격을 의미. 캔들의 상단 그림자의 끝점이 고가를 나타냄.

 

저가 (Low): 주식이 거래된 기간 동안 기록한 최저 가격을 의미. 캔들의 하단 그림자의 끝점이 저가를 나타냄.

 

종가 (Close): 주식의 거래가 마감될 때의 가격을 의미. 캔들의 오른쪽 끝 부분에 위치한다.

 

거래량 (Volume): 해당 기간 동안의 주식 거래량을 의미. 주식 차트 아래에 선형 그래프 또는 막대로 표시된다.

 

 

양봉
음봉

 

위의사진의 빨간색캔들을 양봉, 파란색을 음봉 이라고한다.

 

양봉(Positive Candlestick): 시가보다 종가가 높은 경우를 나타낸다. 주식 가격이 상승한 것을 의미한다. 캔들 몸통의 윗쪽 선을 윗꼬리 라고한다. 꼬리의 끝은 고가를 의미하며 아랫꼬리의 끝은 저가를 의미한다. 또한 몸통의 위끝은 종가 아래끝은 시가를 의미한다.

 

음봉(Negative Candlestick): 음봉은 시가보다 종가가 낮은 경우를 나타낸다. 주식 가격이 하락한 것을 의미. 음봉은 주로 판매 압력이 강하고 매도자가 매수자보다 우세한 상황을 나타냅니다. 양봉과 마찬가지로 윗꼬리는 고가 아랫꼬리는 저가를 의미하지만 몸통의 위끝은 반대로 시가 아래끝은 종가를 의미한다.

 

일봉 차트 (Daily Chart): 일봉 차트는 하루 동안의 주식 가격 움직임을 한 캔들로 표현하는 차트. 즉, 하나의 캔들은 하루 동안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나타내며 장기적인 추세와 패턴을 파악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각 캔들은 하루의 거래 동안의 가격 움직임을 나타내므로 단기적인 변동과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

 

주봉 차트 (Weekly Chart): 주봉 차트는 일주일 동안의 주식 가격 움직임을 한 캔들로 표현하는 차트. 일봉 차트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캔들은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나타낸다. 주봉 차트는 장기적인 추세와 패턴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며 주봉 차트는 일봉 차트보다 더 긴 시간 동안의 가격 움직임을 보여주기 때문에 단기적인 잡음을 줄이고 장기적인 추세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월봉 차트(Monthly Chart): 월봉 차트는 한 달 동안의 주식 가격 움직임을 한 캔들로 표현하는 차트. 하나의 캔들은 한 달 동안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나타낸다. 월봉 차트는 장기적인 추세와 패턴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일봉 차트와 주봉 차트가 단기적인 변동과 장기적인 추세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반면, 월봉 차트는 더 긴 시간 동안의 가격 움직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월봉 차트를 통해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수립하고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월봉 차트는 특히 장기 투자자들이 사용하며, 긴 시간 동안의 주식 가격 움직임을 파악하여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장기적인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 월봉 차트를 활용하여 추세의 방향과 강도, 지지선과 저항선의 위치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일봉, 주봉, 월봉 차트는 각각 다른 시간 단위로 주식 가격 움직임을 표현하므로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스타일과 목표에 맞는 차트를 선택하여 분석해야 한다.

 

시가 총액(Market Capitalization): 일반적으로 시가총액 또는 시총이라고도 불리는 이 지표는 기업의 시장 가치를 나타낸다. 시가 총액은 주식의 현재 가격과 발행된 주식의 총 수량을 곱하여 계산되며 이는 기업의 상장 주식시장에서의 전체 가치를 나타내고 투자자들이 기업의 크기와 중요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코스피(KOSPI): 코스피는 대한민국 주식 시장에서 가장 대표적인 지수로 알려져 있다. 코스피는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대표적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지수를 산출한다 .1983년 1월 4일부터 시작되어 시가총액 가중 지수 방식을 사용하여 산출된다. 주로 대형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경제 상황과 주식 시장 전반을 반영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등이 있다.

 

코스닥(KOSDAQ): 코스닥은 대한민국의 중소 및 성장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주식 시장을 나타내는 지수이다.1996년 7월 1일에 설립되어 대한민국 증권거래소에서 운영됩니다.기술 기업, 바이오 기업 등 산업 분야별로 다양한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다.코스닥은 주로 새로운 기업들이 상장하고 성장하며, 높은 성장 잠재력과 불안정한 가격 움직임을 특징으로 한다.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셀트리온, 카카오, NAVER 등이 있다.

 

상한가 (Upper Limit): 상한가는 특정 기간 동안의 주식 가격이 상승해서는 안 되는 최대 가격을 의미한다.주식 가격이 상한가에 도달하면 더 이상 가격이 상승할 수 없으며, 상한가 이후에도 주문을 넣을 수 있지만 가격은 고정된다. 상한가는 주식 시장에서 과도한 가격 상승을 제한하고 투자자들이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하한가 (Lower Limit): 하한가는 특정 기간 동안의 주식 가격이 하락해서는 안 되는 최소 가격을 의미한다.주식 가격이 하한가에 도달하면 더 이상 가격이 하락할 수 없으며, 하한가 이후에도 주문을 넣을 수 있지만 가격은 고정된다. 하한가는 주식 시장에서 과도한 가격 하락을 제한하고 투자자들의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차트 분석법

차트를 읽는 것은 주식 시장에서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아래는 차트를 읽는 기본적인 방법과 주요한 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가격 축: 차트의 세로 축은 주식의 가격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오른쪽으로 갈수록 가격이 증가하며, 왼쪽으로 갈수록 가격이 감소합니다.시간 축: 차트의 가로 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주식 가격의 변동 추이를 시간에 따라 표현하며 가장 일반적인 시간 단위는 분, 시간, 일, 주, 월 등이 있다.

 

캔들스틱: 위에서 설명한 캔들스틱은 차트에서 주식 가격의 흐름을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각각의 캔들스틱은 개시가, 종가, 고가, 저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담고 있다. 양봉과 음봉으로 나뉘며, 양봉은 종가가 개시가보다 높은 경우를 의미하고, 음봉은 종가가 개시가보다 낮은 경우를 의미한다.

 

지표: 차트에는 다양한 지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지표들은 주식 가격의 추세, 거래량, 과거 패턴 등을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대표적인 지표로 이동평균선(MA), 상대강도지수(RSI), 볼린저 밴드 등이 있다.

 

거래량: 차트의 아래에는 거래량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거래량은 해당 주식이 거래된 양을 나타내며, 주식 가격 변동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차트를 읽을 때는 가격의 추세, 지지선과 저항선, 패턴의 확인, 지표의 신호 등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주식 가격의 방향성을 파악하고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차트 분석은 예측에 기반한 것이므로 항상 100% 정확하지는 않으며, 추가적인 연구와 기술적 분석이 필요할 수 있다.

 

 

지표 추가 설명

이동평균선(MA): 차트에서 주식 가격의 추세와 평균적인 가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지표. 이동평균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주식 가격을 평균하여 그래프로 표현한 선이다. 이동평균선은 다양한 기간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주로 사용되는 세가지 유형이 있다.

 

1. 단순 이동평균선(Simple Moving Average, SMA):단순 이동평균선은 주식 가격을 주어진 기간 동안의 평균으로 계산하는 가장 기본적인 이동평균선으로 각각의 주식 가격을 모두 동등하게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을 계산한다.예를 들어, 10일간의 SMA는 최근 10일 동안의 주식 가격을 합한 후 10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2. 지수 이동평균선(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지수 이동평균선은 최근 가격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되는 이동평균선이다. 주식 가격의 변동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빠르게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 지수 이동평균선은 과거 주식 가격에 지수 함수를 적용하여 계산된다.

 

3. 가중 이동평균선(Weighted Moving Average, WMA):가중 이동평균선은 가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되는 이동평균선으로 최근의 주식 가격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며, 과거의 주식 가격에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상대강도지수(Relative Strength Index, RSI): 주식 시장에서 주식 가격의 상승과 하락을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지표. RSI는 주식 가격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을 비교하여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RSI는 0에서 100 사이의 값으로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30과 70을 기준으로 분석된다. 주로 14일 동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되며 RSI 값이 30 아래로 내려가면 과매도 상태로 간주되고, 주식 가격의 상승이 예상될 수 있다. 반대로, RSI 값이 70을 초과하면 과매수 상태로 간주되며, 주식 가격의 하락이 예상될 수 있다.

 

RSI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승 평균값 (Average Gain): 일정 기간 동안 주식 가격이 상승한 날들의 평균값을 계산.

하락 평균값 (Average Loss): 일정 기간 동안 주식 가격이 하락한 날들의 평균값을 계산.

상대강도 (Relative Strength): 상승 평균값을 하락 평균값으로 나눈 비율을 계산.

RSI 계산: 상대강도를 이용하여 RSI 값을 계산. 일반적으로 다음의 공식을 사용한다 > RSI = 100 - (100 / (1 + RS))